일년 중 별을 보기 가장 좋은 계절이라고 하면 겨울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1. 맑은 날씨가 많습니다.

2. 밤이 깁니다.

3. 겨울 은하수 주변의 볼거리가 많습니다.

정도의 이유를 들 수 있습니다. 1등성을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계절이기도 하지요.


그렇다고 꼭 좋은 점만 있는 것도 아닙니다. 불편한 점은,

1. 춥습니다.

2. 눈으로 인한 도로 사정이 나쁩니다.

3. 시상이 좋지 않습니다.


세상 모든일이 좋은 점이 있으면 나쁜 점도 있고 그렇지요. 좋은 쪽을 항상 감사하며 지내야 겠습니다. ^^


이제 겨울이 지나고 봄 계절이 찾아옵니다. 겨울보다 좋은 점은 이제 덜 춥다는 겁니다. 

덜 춥습니다. 네 여전히 춥습니다. 심지어 여름에도 춥습니다. 별 볼때는 체온유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한겨울을 화려하게 수 놓은 겨울철 별자리들이 초저녁에 서쪽하늘로 저물고 정겨운 봄철 별자리가

동쪽에서 밀려옵니다. 겨울철 대장 별자리 오리온이 마지막 인사를 하네요. 고마워~~ ^^;


오리온, 황소, 큰개, 작은개, 마차부, 쌍둥이, 페르세우스 별자리들과 딥스카이들


2018년 3월 16일 강원도 홍천

A7S ISO6400 15sec

삼양 24mm F1.4 @f4



20180316 from shlee on Vimeo.

'아마츄어천문취미 > 천체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심 은하수  (0) 2018.05.20
홍천 오리온 4K UHD 동영상  (0) 2018.03.30
은하수 강원도 홍천  (0) 2018.03.22
2018년 1월 31일 개기월식 진입 동영상  (0) 2018.02.06
2018년 1월 31일 개기월식  (0) 2018.02.05
Posted by Starinday

어제 저녁에 채널A 에서 "우주를 줄께" 라는 프로를 보았습니다.

연예인 몇명이서 별을 보러 여행을 떠난다는 포맷인데, 어제는 안동으로 별보러 떠나더군요.

결국 별을 보고 감동을 한다는 내용인데,,,,,,,


도시에서 지내신 분들은 정말 별 볼 기회가 없었겠구나 생각이 드네요.

영상으로 보여준 은하수 사진이 멋있었습니다. 

몇년전 제가 찍은 은하수 사진도 감상해 보시죠. ^^




https://vimeo.com/104885300

Startrails Aug 29 from shlee on Vimeo.

canon 5dmark2 modified iso3200 20sec
samyang 24mm T1.5 at 1.5

Posted by Starinday

20180131_lunarEclipse from shlee on Vimeo.


개기월식 들어가기 전 5분 정도의 시간을 촬영했습니다. 중간중간에 밝기가 변하는 것은 노출을 조절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는 달의 밝은 부분이 점점 작아지다가 완전히 지구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는 과정입니다.
노출에 따라 달 표면의 크레이터와 바다가 다양하게 보입니다.


월식 전체 과정은 아래 글을 보시면 됩니다. (약 3시간 30분 월식 전과정 촬영 http://stars-in-theday.tistory.com/33 )


Posted by Starinday

20180131LunarTotalEclipse from shlee on Vimeo.



2018년 1월 31일 개기월식 입니다.

오후 8시 40분 경 부터 자정 12시 10여분까지 동영상 촬영본입니다. 분당 양영중에서 관측하였습니다.

20:48 (부분월식) 21:51 (개기월식) 23:30 (부분월식) 00:11

3시간 30분 정도 되는 길이를 그냥 20배로 빨리 돌렸습니다.

A7S, C9.25(f=2350, F10) 입니다.


학생들 여러명이 같이 구경하면서 관측을 했기 떄문에 중간중간 노출을 달리 하면서 그림자 부분과 밝은 부분을 바궈가면서 관측도 하고 부분 확대 관측도 병행했습니다. 20배속으로 보니 산만하게 보이는 군요. ^^

동영상 보실 때 전체 화면으로 확대해서 보세요~~


동영상 갭쳐한 사진한장 추가합니다.


Posted by Starinday

A7S live DSO from shlee on Vimeo.

a7s ef200mm f1.8 4fps Hongcheon Korea


2017년 10월 21일 서울천문동호회 정기관측회 강원도 홍천

카메라 : 소니 A7S (modified)

렌즈 : 캐논 EF200mm F1.8 최대개방

노출 : 1/4초 동영상 촬영, ISO102400~204800


실시간 딥스카이 관측 영상입니다. 실제 관측 때 보다 해상도가 살짝 떨어지지만 거의 비슷합니다. 

중간중간 사진은 대상 확인용으로 찍은 6초~30초 정도 한컷짜리 입니다.

영상 보시는 바와 같이 실제 관측시에도 심한 노이즈로 인해 심리적 디노이즈 필터를 많이 이용했습니다. ^^;

Posted by Starinday

Rose Christmas tree orion live DSO from shlee on Vimeo.

a7s ef200mm f1.8 Hongcheon Korea


크리스마스트리와 장미가 나무에 걸려 있습니다. ㅎ

오리온 자리로 옮겨 봅니다. 베델기우스를 지나서 meissa 별을 포함하는 cr69 산개성단을 지나서 오리온자리 중심부로 들어갑니다.

말이 필요없는 화려한 오리온 자리 중심부입니다. 

오리온대성운 M42, M43, 런닝맨 ngc1975, 말머리 ic434, 불꽃 ngc2034, M78, 버나드 루프 등등...

오늘은 유성우까지 찬조 출연을 해 주시네요.

Posted by Starinday

m36 m38 live DSO from shlee on Vimeo.

a7s ef200mm f1.8 Hongcheon Korea


마차부자리에 있는 M36 M37 M38 산개성단 들입니다. 제일 위에 있는 것이 M38 다음이 M36 제일 밑이 M37 입니다.

M37 은 아직 나무에 가려져 있네요. 불가사리(starfish)성단 M38 이 가장 크고 보기 좋습니다. 불가사리 다리들이 보이네요. 주변으로 ngc1907, ic417, ngc1931 등도 확인이 됩니다.

바람개비(Pinwheel)성단 M36 에도 바깥으로 뻗어가는 스타체인이 잘 보입니다.


촬영날(2017,10,21) 오리온자리 유성우 극대기였습니다. M38 근처로 떨어지는 유성하나가 잡혔네요. ㅎㅎ

Posted by Starinday

Rose nebula Christmastree Cluster live DSO from shlee on Vimeo.

a7s ef300mm f1.8 4fps Hongcheon Korea


오리온자리 왼쪽 외뿔소자리에 있는 크리스마스트리성단 콘성운(Cone) 과 장미성운입니다.

영상으로 보면 크리스마스트리에 있는 콘은 확인이 어렵지만 푸른색 성운 주변의 삼각형 형태의 성단(ngc2264)는 잘 보입니다.

장미성운은 성운 속에 있는 산개성단(ngc2244)들과 어울어져 아름답게 보입니다.

Posted by Starinday

NGC2174 IC2162 SH2-261 live DSO from shlee on Vimeo.

a7s ef300mm f1.8 4fps Hongcheon Korea


쌍둥이자리 아래 오리온자리에 있는 원숭이성운 ngc2174, 옆에 WiFi 안테나같은 ic2174, Lower's 성운이 불리는

Sh2-261 이 쭈욱 있습니다.

Lower's 성운은 별로 특색이 없어서 그런지 덩치에 비해 인기가 없습니다. 그냥 비닐 봉투같이 생겼습니다.

오히려 ic2162 이 작지만 존재감이 있습니다.

Posted by Starinday

M1 M35 IC443 NGC2174 live DSO from shlee on Vimeo.

a7s ef300mm f1.8 4fps Hongcheon Korea


황소자리 왼쪽 뿔 Zeta 별 위에 초신성잔해 게성운(Crab) M1 입니다. 영상으로 성운 가장자리에 약간 붉은색이 보이기도 합니다.

쌍둥이자리로 옮겨 갑니다. 쌍둥이자리에도 볼만한 대상이 많이 있습니다. 쌍둥이 형 카스토르Castor 발바닥 부근으로 갑니다.

소금과 후추 산개성단 M35 와 ngc2158, 독을 뿜는 해파리 IC443, 찡긋 윙크하는 원숭이 ngc2174 를 한꺼번에 봅니다.

영상으로는 해파리의 독은 잘 보이질 않네요.  

Posted by Starinday